[스페셜경제] 당초 플랜과는 일정부분 거리가 있지만 웅진그룹의 웅진코웨이 처리가 마무리 된 형국이다.


겉보기에는 매각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웅진코웨이 지분을 담보로 제공하고 외부자금을 수혈한 꼴이다.


이 같은 웅진그룹의 매각 방식에 대해 일각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적절한 선택이었다’도 평가도 시간이 지날수록 힘을 얻는다.


한발 더 나아가 당초 웅진코웨이 매각 추진 배경이 건설과 태양광에 집중하기 위해서였지만, 냉정한 재계산을 통해 반대로 건설과 태양광을 버리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먼저 웅진그룹의 이번 결정을 지지하는 이유는 주지하다시피 웅진코웨이가 그룹의 주력사이기 때문이다.


만약 건설과 태양광 사업의 전망이 밝고, 웅진코웨이 매각으로 조달한 자금이 그룹의 차입금을 상당부분 상환할 정도 규모였다면, 완전한 매각을 지지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에 대해 만족할만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기에 완전한 매각보다는 일부 매각 후 훗날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는 것이다.


웅진그룹의 지배구조를 살펴보면, 윤석금 회장이 웅진홀딩스 지분의 74% 가량을 보유하고 있고, 웅진홀딩스는 다시 웅진코웨이, 웅진씽크빅, 극동건설, 북센, 웅진에너지, 웅진폴리실리콘, 웅진식품 등을 지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웅진코웨이와 웅진씽크빅은 연결기준, 나머지 5개 회사는 단독기준 재무제표를 이용해 살펴보면, 그룹이 건설과 태양광 사업 투자를 늘리는 과정에서 전반적인 차입금은 늘어났다.


하지만 정상화 시기가 이연되면서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규모가 정체 양상을 보임에 따라 절대적, 상대적인 원리금 상환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차입금과 EBITDA를 계열사별로 살펴보면 먼저 차입금의 경우 2007년 인수한 극동건설의 차입금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2010년부터는 태양광 관련 기업인 웅진에너지와 웅진폴리실리콘의 차입금이 늘어나고 있어, 신규사업들이 그룹의 차입금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EBITDA 측면에서 보면, 웅진코웨이가 그룹의 현금흐름 창출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웅진씽크빅 역시 꾸준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기존사업들이 웅진그룹을 이끌어나가고 있다.


물론 웅진에너지도 EBITDA 측면에서 기여도가 있는 편이지만 웅진폴리실리콘과 떼어서 생각하기 어렵고 웅진에너지는 상장사, 웅진폴리실리콘은 비상장사라는 점에서 양사간 이전가격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하여간 요점은 학습지, 정수기 등과 같이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기존 사업의 기여도가 신규사업인 건설과 태양광의 기여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으며, 그 중에서도 매각을 고려했던 웅진코웨이의 기여도가 70% 내외로 절대적이라는 것이다.


최근 태양광부문의 EBITDA 기여도가 개선되고는 있으나 투자부담으로 늘어난 차입금을 감안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하겠다.


반복하지만, 극동건설과 웅진에너지 등이 산업내 경쟁력이 높고 향후 전망이 밝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다른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부동산 시장 경색으로 건설업황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해외수주 경쟁력 있는 건설사들은 사정이 나은 모습이다. 극동건설이 과연 그러한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재생에너지의 경우 다양한 대체재가 있고 신기술 개발 여부에 따라 어제 경쟁력 있었던 기술이 하루아침에 그 지위를 잃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룹의 태양광사업이 과연 그러한 위협을 이겨낼만큼 상대적,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는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건설과 태양광사업은 분명 웅진그룹이 영위해오던 사업에 비해 뭔가 겉으로 폼나게 드러나고, 또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를 주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개인의 처세술에도 약점을 보완하기 보다 강점을 강화하라는 주문이 있는 것처럼, 유기체인 그룹 경영에서도 생뚱맞은 분야에 다발적으로 진출하기 보다는 강점을 활용한 점진적인 사업 확장 전략의 성공 가능성이 높다.


인적 네트워크 활용이라는 웅진그룹의 강점이 과연 건설업과 태양광사업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 정답은 아리송하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