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18일(현지시간) 미국을 방문 중인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과 만나 제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시기를 2월말로 가닥을 잡았다.


[스페셜경제=김봉주 인턴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영철 북한 조선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면담 후 2월말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지만, 구체적인 일정과 장소가 발표되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부위원장은 18일(현지시간)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면담을 갖고 북한 비핵화,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등을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번 방문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메시지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한편, 회담 일정과 장소에 대해 몇 가지 안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베트남 하노이와 다낭 등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지만, 결국 이날 회담 장소는 발표되지 않았다. 당초 이날 2차 북미회담 일정과 장소가 결정될 것으로 기대됐으나 ‘2월말 개최’라는 윤곽만 드러난 것에 대해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일정 압박…실무 협의서 결정 가능성 높아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시간을 못 박았을 때 갖는 압박감이 굉장하다. 1차 북미정상회담 때 마찬가지였다”며 “북한은 요구조건을 강도 높게 요구했고, (미국 입장에서는) 시간 안에 조율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강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지대’를 설정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미 간 실무협상이 이후 진행되면, 의제가 조율되는 농도나 밀도, 그 수준 등을 보면서 최종적으로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스웨덴 스톡홀름에서는 미국과 북한의 고위급 외교관들이 2차 북미회담을 위한 실무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 회의에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마르고트 발스트룀 스웨덴 외무장관 등이 참가한다.


19일(현지시간) 최 부상과 비건 대표가 만날 예정이며, 이 자리에서 구체적인 정상회담 개최일과 장소, 의제 등에 관한 실무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미국의 국내 정치 문제도 회담 일정 결정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국경지역에서의 장벽 건설 문제와 연방정부 셧다운(업무중지) 사태를 놓고 내홍을 겪고 있어 이번 협상에 전력을 쏟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장소에 대해서 사전에 미 CIA(중앙정보국)와 북한 측이 접촉하는 과정에서 이미 상당 부분 결정한 상태에서 김 부위원장이 미국에 방문했다는 관측도 있다.


조성렬 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전문위원은 “장소도 이미 정해졌을 가능성이 많다”며 “보안 문제 등으로 신경을 써서 그런 것 같다. 일정과 장소를 정하지 않고 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한 관계자도 “발표를 하지 않았다 해서 장소가 정해지지 않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워싱턴 회동 전부터 장소에 대해서는 양자 간의 상당한 접근이 이뤄졌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핵화 북미간 이견 차 여전해


반면, 구체적인 일정과 장소가 발표되지 않은 것은 아직 북미 간의 입장차가 상당하는 점을 드러낸 것 아니겠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미가 원활하게 협의했다면 긍정적으로 나왔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게 아닌 것 같다”며 “그렇기 때문에 2월 말로 여지를 남긴 거 같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비핵화의 선결 조건으로 대북제재 해제 등 상응 조치를 내세우고 있지만, 미국은 비핵화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미국은 북한의 핵 중 적어도 60% 정도는 6개월에서 8개월 내에 해외로 반출하거나, 북한 내에서 폐기한다면 비핵화 의지를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이지만,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과 동창리 발사장 폐쇄로 비핵화 의지를 보이고 있으니 미국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퍼지는 북미회담 회의론을 잠재우기 위해 이번 회담에 확실한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 입장이고, 김 위원장은 그간 비핵화에 대한 상응 조치를 받아내지 못한 만큼 이번만큼은 반드시 보상이 필요한 입장이라 어느 한쪽이 먼저 양보하지 않으면 이견을 좁히기 어려운 형국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과도하게 많은 양, 과도하게 세부적인 것은 합의하기가 힘들고, 합의했을 때 갖는 이행 부담감이 존재한다”며 “실현 가능한 수준에서 합의점을 잡아냄으로써 이행력을 담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