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제외한 5대 유망수출 품목 모두 10위권 밖
10대 수출국 의존도 70.3%…상위 5개국은 중국과 겹쳐

▲ 세계 10대 품목 중 상위 5대 품목의 연간 수출 성장률과 한국의 비중(순위) (자료=전경련)

 

[스페셜 경제=변윤재 기자] 세계 수출 7위인 우리나라의 위상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국가와 품목을 분석한 결과, 중국과 미국 등 일부 국가에 대한 편중이 심한 데다 반도체를 제외한 유망 수출품목에 대한 점유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중국과 주요 수출국이 겹쳐, 미중 무역갈등이나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중국의 공세와 같은 대외 리스크에 취약한 구조적 문제도 드러났다.

 

우리나라는 지난해와 비교해 5개월 연속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상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를 감안하더라도, 수출이 특정 지역과 품목에 쏠려 있는 탓에 더 큰 타격을 받는 모습이다. 재계는 서비스업 수출을 확대하고 국가와 품목을 다각화해 미래 수출경쟁력을 올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믿을 건 반도체 뿐수출 경쟁력 저하 우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1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0대 수출 품목 의존도는 46.3%. 이탈리아, 독일, 중국 등 세계 수출 상위 10개국의 10대 수출품목 의존도는 평균 36.0%로 우리나라는 이들 국가보다 10% 포인트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는 반도체 품목이 전체 수출의 14.6%에 달했다. 반도체 경기 변동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클 수 밖에 없다.

 

세계 10대 수출 품목에서는 특정 품목 편중이 드러났다. 승용차,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등 상위 4대 품목에서의 점유율은 3~11%에 이른 반면, 의약품, 컴퓨터, 터보제트, 의료기기 등 나머지 6대 품목에서는 1% 내외였다. 우리나라가 세계 총 수출의 2.9%를 차지하는 점을 감안하면, 의약품과 터보제트의 점유율은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특히 의료기기와 면역물품, 터보제트, 화물차, 반도체 등 성장률이 높은 5개 품목을 놓고 보면 반도체 편중이 더욱 두드러진다. 반도체만 유일하게 4위를 기록했을 뿐, 나머지 품목은 모두 10위권 밖이었다.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는 바이오·헬스 분야의 경우, 면역물품과 의료기기, 의약품이 각각 11, 16, 32위에 그쳤다. 연간 성장률이 12%에 달하는 터보제트 역시 27위에 머물렀다.

 

또 총 수출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13.8%에 불과했다. 이는 세계 수출 상위 10개국 중에서 9위로 최하위 수준이었다. 1위인 영국(46.3%)과 비교하면 3분의1에 불과하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세계 서비스업이 연평균 3.8% 성장하고 있는데도 우리나라의 서비스업 성장률이 0.6%로 부진했다. 서비스 수출 비중이 10위로 우리보다 낮은 중국도 연평균 6.2%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향후 유망품목 수출 육성은 물론, 서비스업 경쟁력 확보가 절실한 것이다.

 

지역 편중도 심각했다. 우리나라의 10대 수출국에 대한 의존도는 70.3%, 상위 10개국 평균인 65.3%보다 높았다. 중국(25.1%)과 미국(13.5%), 베트남(8.9%), 홍콩(5.9%), 일본(5.2%) 5대 수출 대상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이상(58.6%)인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상위 5대 수출국은 중국의 5대 수출국(미국, 홍콩, 일본, 한국, 베트남)과도 겹치고, 자동차를 제외한 주요 수출 경쟁품목에서 중국보다 수출 점유율이 뒤처지고 있다. 전경련은 자국 정부의 첨단제조업 육성 정책을 등에 업은 중국 업체와의 경쟁은 우리나라 수출 여건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수출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제조업 비중이 높은 독일의 신시장 이니셔티브나 영국의 수출사절단을 벤치마킹해 수출시장 다변화와 다양한 서비스 산업 육성이 이뤄져야 한다는 제언이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우리나라의 수출품목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여전히 정체되어 있다“4차 산업혁명,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도할 새로운 성장동력의 부재는 우리의 미래 수출경쟁력에 큰 위협이 될 것이므로, 정부의 지원정책과 규제 개선을 바탕으로 선진국형 산업모델로 진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스페셜경제 / 변윤재 기자 purple5765@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