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뱅크]

[스페셜경제=이인애 기자]금융당국이 보험료 카드납부를 권장하고 나선 것은 작년부터였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상용화되진 않는 모습이다. 보험료 카드납부가 보편화되면 소비자나 카드사 입장에서는 물론 좋은 점이 많지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막대한 카드 수수료 때문에 이익이 줄게 되기 때문에 주춤하는 모습을 오래 지속하는 것이다.

이에 보험사는 카드사에 수수료 인하를 요구했지만 카드사는 그럴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보험료 카드납부 자체를 거부하는 보험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삼성생명은 상성카드로만 보험료 납부를 허용하고 있으며 교보생명과 한화생명은 카드결제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생명보험협회 공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생보사들의 보험료 카드납 지수는 3.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입보험료 중 카드 결제 수입보험료의 비중으로 보험사의 신용카드 결제 허용 비율을 수치화한 것으로, 이 중 보장성보험은 5.8%, 저축성보험은 0.8%, 변액보험은 0.7%에 불과한 카드납 지수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대형 생보사의 경우 중소형사에 비해 카드납 지수가 더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형사의 경우 계속보험료가 많아 카드 수수료 규모가 크기 때문이라고 전문가 등은 분석하고 있다.

중소형 생보사는 보험료 카드납 허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신한생명의 경우에는 모든 보장성 상품 보험료를 카드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신한생명은 6개 카드사에 대해 결제를 허용했는데 이에 전체 보험료 가운데 19.6%가 카드로 납부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KB생명도 보장성 상품 보험료 697억원 가운데 21.4%에 해당하는 147억원이 카드로 납부된 바 있다.

이처럼 보장성보험의 경우에는 그나마 보험료 카드납부를 허용하고 있는 편이지만, 저축성·변액보험의 경우 보험사에서 보험료 카드결제를 더 꺼리는 것은 운용수익률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상품들은 보험사에서 보험료 운용수익으로 일정 금리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인데,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2%대나 되는 카드 수수료가 부담된다는 것이다. 특히 과거 판매했던 확정고금리 상품의 경우는 보험사에 역마진을 가져다주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카드납을 허용하고 있는 중소형사의 경우에는 수수료가 부담되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고객 유치를 위해 서비스 제공 차원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카드사와 협의 없이는 대형 생보사에서 보험료 카드납부를 허용할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이인애 기자 abcd2ina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