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선다혜 기자]10대그룹 총수들이 채 1%도 되지 않는 지분을 보유하고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수년 동안을 살펴보면 총수일가가 직접 보유한 지분은 점차적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계열사를 통한 지분율 높이는 방법을 통해서 그룹 지배력을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9년 대기업집단 주식소유현황’에 따르면 총수가 있는 그룹 51개의 내부지분율은 57.5%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낮아졌다. 내부지분율은 총수가 가진 지분과 총수관련자(친족, 계열회사, 임원, 비영리법인)가 보유한 지분의 총합을 말한다. 이 내부지분율은 그룹의 지배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가운데 총수일가 지분율은 3.9%에 불과했다. 이를 살펴보면 ▲총수 1.9% ▲총수2세 0.8% ▲기타 친족 1.2%를 평균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수일가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이 4%도 안 됨에도, 계열사 출자 등을 이용해서 그룹 전체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위 10대 그룹만 놓고 보자면 그룹 총수의 지분은 0.9%로 1%도 되지 않았다. 지난 20년간의 흐름을 보면 총수가 직접 보유한 지분은 지난 2000년 1.1%에서 올해 0.9%까지 유사하거나 소폭 감소했다.

이에 반해서 계열사가 보유한 지분은 이 기간 동안 44.9%에서 54.3%로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총수일가 전체 내부지분율 역시 44.9%에서 56.9%로 크게 증가했다.

총수 가운데 지분율이 가장 낮은 곳은 대림이었다. 대림 총수가 보유한 지분은 0.004%에 불과했다. SK역시 총수 지분이 0.03%에 그쳤다. 다음으로는 태영(0.05%), 한진(0.3%), 유진(0.3%) 등의 순이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에 비해 공익법인과 해외계열사, 금융보험사가 출자한 비금융보험사 수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보험사가 출자한 비금융계열사 수는 지난해 32개에서 41개로 증가했고, 공익법인이 출자한 계열사 수는 122개에서 124개로 증가했다. 해외계열사가 출자한 국내 계열수 숫자도 44개에서 47개로 늘어났다.

36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69개 공익법인이 보유한 계열사 평균지분율은 1.39%로, 5년 전 0.83%에 비해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익법인이 지분을 많이 보유한 계열사 수는 롯데가 11개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삼성, 포스코, 금호아시아나가 8개, 현대중공업이 7개 순이었다.

총수가 있는 51개 기업집단 중에서 28곳이 197개·보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대로 17개 집단 소속 79개 금융·보험사는 계열사 180곳에 출자하고 있었다. 이들은 계열사들에 대해 보유한 지분율은 32%다. 이들의 출자금은 1년 전에 비해서 10.5%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서 공정위는 순환출자 등 기업 개선이 나타나고 있지만, 우회출자의 경우 규제 사각지대에 제도개선이 시급하고 판단했다.

공정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내부거래가 상당한 상장사가 지분을 소폭 변경해 규제 대상에서 벗어난 사례가 나타났다”면서 “특히 전년에 비해 공익법인이 출자한 계열사, 해외계열사가 출자한 국내계열사, 금융보험사가 출자한 비금융보험사 수가 모두 증가하면서 우회출자를 활용한 총수일가의 지배력 확대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스페셜경제 / 선다혜 기자 a40662@speconomy.com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