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마케팅비 급증, 소비자에게 전가될까 우려
“카드사는 마케팅비 규제…간편결제업도 제한해야”

▲ 간편결제사업자 선불전자지급수단 서비스 마케팅 비용 현황 (자료제공=김한정 의원실)

 

[스페셜경제=윤성균 기자]카카오페이, 토스, 페이코 등 간편결제사업자의 마케팅비 지출이 지난 1년간 1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유치를 위한 고비용 마케팅 부담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한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4년간(2016~2019) 간편결제사업자 마케팅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쿠팡·NHN페이코·네이퍼파이낸셜 등 주요 5개사 의 지난해 마케팅 비용은 1004억7600만원을 기록했다.

2016년 123억4400만원 수준이었던 이들 기업의 마케팅비는 2017년 171억4900만원, 2018년 305억9400만원으로 매년 증가해 지난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2018년 이후 1년 만에 3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지난해 기준 가장 많은 마케팅비를 지출한 기업은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로 800억8300만원을 썼다.

다음으로 ▲카카오페이(237억9300만원) ▲NHN페이코 176억4300만원 ▲쿠팡 81억6000만원 ▲네이버파이낸셜 13억7900만원으로 순으로 마케팅비 지출이 높았다.

지난 4년간 간편결제를 통한 소비자 이용금액 또한 증가했다.

간편결제사업자 주요 5개사의 지난해 이용금액은 52조3103억원으로 2017년 11조1796억원 대비 5배 늘었다.

특히 토스의 이용금액은 43조3706억원으로 간편결제사업자 가운데 마케팅비와 이용금액 모두 가장 높았다.

김한정 의원실 측은 “현재 카드사의 경우 고비용 마케팅이 소비자나 중소 가맹점의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마케팅빙에 대한 제한으르 두고 있다”면서 “간편 결제 및 송금 서비스 등 소비자 생활에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편결제사업자에 대한 규제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9월 금융감독원이 행정지도 성격의 ‘전자금융업 이용자 자금보호 가이드라인’을 내놓았지만 마케팅 비용을 제한하는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한정 의원은 “간편결제 서비스 활성화로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의 우려 속에 건전성과 수익성 악화 등의 잠재적 위험은 공존하고 있다”며 “간편결제사업자의 마케팅 경쟁이 장기화된다면 수수료 인상 등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관심과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스페셜경제 / 윤성균 기자 friendtolife@speconomy.com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