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장기화한 가운데 올해 우리 경제도 낙관할 수 없다. 부산항 전경. [사진=정수남 기자]
경기침체가 장기화한 가운데 올해 우리 경제도 낙관할 수 없다. 부산항 전경. [사진=정수남 기자]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경기침체가 장기화한 가운데 올해 우리 경제도 낙관할 수 없다. 

수출 회복이 다소 긍정적이지만, 고금리와 고물가, 고환율 등 3고 현상이 소비를 위축하고 있어서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 경기가 부정적인 데다, 우리 산업의 80%가 석유 의존형이라 국제유가 향방도 우리 경제의 변수다.

15일 재계에 따르면 이를 고려해 한국은행이 22일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다시 제시한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로 각각 2.1%와 2.3%로 전망했다.

다만, 국내외 기관이 우리 경제에 대해 엇갈리게 전망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이달 초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2.3%에서 2.2%로 낮췄다. 우리 정부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7월 2.4%에서 지난달 2.2%로 내렸다.

반면, 국제통화기금(IMF)은 2.2%로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달 2.3%로 높였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 0.1%포인트 내린 후, 이달에는 기존과 같은 2.2%로 제시했다.

이 같은 엇갈린 전망치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소비 위축 때문이다. 미국이 금리 인하를 하반기로 늦춰, 한은 역시 빨라야 3분기에 금리를 내릴 것이라서다.

이로 인해 운영 자금 조달과 대출 이자 부담 등으로 민간소비와 함께 기업의 투자도 움츠릴 것이라는 게 재계 분석이다.

건설과 부동산 경기침체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같은 이유로 대출이 제약을 받으면서 시중에 현금이 돌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가 재정 건전성 유지를 확대하는 점도 우리 경제의 걸림돌이다.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대한 투자가 줄면서, 고용과 소비가 축소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올해 예산 증가율은 2.8%로 재정통계를 정비한 2005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로 유지한다. 미국 주도의 세계 경기 연착륙 경로가 강화하면서 수출 회복이 낙관적이지만, 중국 경기 회복이 더디고, 유럽의 경제전망도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의 경우 무역 의존도가 높은 중국 경기와 유가 불확실성이 큰 변수다. 고금리와 고물가에 내수 위축 우려도 높아진 만큼 정부는 정책자금을 통해 서민과 건설업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페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